부산에서 현재 사용중인 동백전 카드는 부산지역업체에서 사용할때 사용금액의 5%가 동백전으로 캐시백이 되는 좋은 카드로 많은 부산분들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여기서 교통비가 할인되는 동백패스가 또 새로 나왔습니다. 동백패스 삼성페이는 되는지 알뜰교통카드와 비교해서 좋은건지 할만한지 비교해보았습니다.
Table of Contents
동백패스 신청방법 사용방법
동백전 카드를 사용한다면 동백패스를 신청하고 사용하는 것이 어렵지 않습니다. 본인명의 스마트폰이 있고 후불교통 서비스 가능하면 문제가 없습니다.
신청방법은 동백전앱을 실행해서 보면 동백패스라는 아이콘이 있습니다. 이 아이콘을 동해서 신청해야 동백패스가 적용됩니다. 이것을 통해 신청안하면 그냥 동백전카드 후불교통카드로 사용해도 적립이 안됩니다.
일단 무조건 동백전카드를 부산은행에서 후불교통신청한 다음에 아래와 같이 따라하면 됩니다.(기존 하나은행은 현재 안됨. 추후 지원)
- 동백전 앱 실행
- 동백패스 아이콘 터치
- 경고창에 동백패스 가입필수라고 뜨는 것 확인 누름.
- 가입하기->약관동의->가입이 완료되었습니다. 창이 뜸.
위와 같이 카드를 발행하고 그냥 후불교통카드처럼 사용하면 됩니다.
동백패스 환급조건

위의 사진과 같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월 이용요금 총합계가 4만 5천원이 초과 할때 환급이 생기는 것이고 월 이용금액이 9만원이 넘는다면 위에 말한 4만 5천원까지 동백전 정책지원금으로 캐시백 환급됩니다.
그러므로 최소 4만 5천원 이상 대중교통을 이용하시는 분들에게는 아주 큰 효과를 발휘할수 있습니다.
한달 이용한 금액의 캐시백 환급은 다음달 10일입니다.
동백패스 삼성페이 될까?
결론적으로 삼성페이를 활용한 동백패스 적립은 안됩니다. 삼성페이에 동백전 카드를 등록해서 사용할수는 있고 캐시백을 받는 것도 가능합니다.
하지만 동백패스 캐시백 을 받기 위해서는 결제방식이 달라서 안된다고 합니다. 삼성 스마트폰을 들고다녀도 교통카드로 실물 동백전 카드를 들고 다녀야 하므로 이것은 좀 단점입니다. 하지만 이것은 알뜰교통카드도 동일하게 실물카드를 가지고 다녀야 하므로 비슷합니다. 아래글을 참조하세요.
동백패스 알뜰교통카드 어떤것이 좋을까?
결론부터 말하면 한달 대중교통비에 따라서 다릅니다. 어중간하게 교통비 5만원 수준이라면 오히려 알뜰교통카드가 낮고 7~8만원 정도까지 사용한다면 동백패스가 유리합니다.
하지만 알뜰교통카드는 현금 캐시백, 동백패스는 동백전으로 환급되므로 약간의 차이는 있습니다.
동백패스 택시비도 환급될까
참고로 대중교통에 택시는 포함되지 않아서 택시를 많이 타서 동백패스를 사용하시려는 분들에게는 효과가 없습니다. 알뜰교통카드도 똑같습니다.
정리
동백패스는 한달 택시제외 대중교통비로 7~8만원 정도 사용시에 가장 큰 혜택을 받을수 있고, 딱 4만 5천원 이상에서 5만원 수준에서는 알뜰교통카드가 낫다. 삼성페이로 찍으면 환급이 안되므로 실물 동백전 카드를 들고 다녀야 하는 불편함이있다 정도로 정리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