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담보대출 계산기 용어정리 LTV DSR 뜻

요즘 금리 인상으로 인하여, 부동산 경기가 어려워졌습니다. 이에 정부는 몇가지 완화정책을 펴고 있습니다. 그전에 부동산담보대출 기본 용어 정리를 해보겠습니다.

부동산담보대출 용어정리 LTV DSR DTI

부동산담보대출 용어 정리

대표적인 부동산 주택 담보대출의 용어로 LTV와 DSR이 있습니다. 요즘에는 주택담보대출의 장벽을 낮춘다고 LTV는 완화, DSR 은 강화한다고 하는데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LTV 뜻

LTV란 Lone to Value Ratio의 약자로 주택 시세 대비 대출을 받을 수 있는 비율입니다. 다른말로는 담보 인정 비율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대출을 받으려는 담보가치 주택 아파트등 시세 대비 대출 가능한 금액의 비율을 말합니다. 어떻게 보면 대출 한도라고 보면 쉽습니다.

서울에 있는 6억 아파트를 구매하려고 하는데, LTV가 법적으로 40%로 정해져 있다면 2억 4천만원만 대출이 되는 것입니다. 구매자가 소득이 높거나 능력이 있어도 이 부동산을 살때에는 정해진 한도 만큼만 대출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LTV완화라는 것은 담보 가치에 대한 대출한도를 높혀준다는 것이므로, 고금리에도 주택등을 살려면 대출을 가능하게 해준다는 것입니다. 그렇게되면 이 대출의 장벽이 낮아지는 효과가 되는 것 입니다.

DSR 뜻

DSR은 (주택대출 원리금 상환액+기타 대출 원리금 상환액)/연간소득 입니다. 그러므로 주택이나 부동산담보대출뿐만 아니라 카드론, 학자금 등 모든 대출을 포함한 금액을 연간소득 연봉으로 나눴을 때의 비율입니다. 한마디로 연봉대비 대출관련 상환액을 제한하여 영끌등을 못하게 만든 제도라고 할수 있습니다.

이게 문재인 정부 때 60%였는데, 이 제한 때문에 부동산 투자 영끌하고 싶어도 못한다고 말이 ㅁ많았습니다. 하지만 현재로 봤을 때는 이 제도로 인해서 현재 고금리 시대에 살아 남은 국민도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것의 한도를 낮춘다면, 혹시나 모를 가계부채 급증 및 주택가격이 다시 상승하는등의 문제가 있어서 이 것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조심스러운 모양입니다.

DTI 뜻

DTI 는 내 소득에 따른 총 부채의 상환 비율입니다.

(주택 대출원리금 상환액+기타 대출이자상환액) / 연간소득 으로 DSR과 다른점은 원리금이 아닌 이자 상환액을 한도 계산에 포함한 것입니다. 이것으로 이자를 매월 내는 것에 부담없는 한도로 주택을 사란 말입니다.

정리

대출규제를 완화한다고 하는데, 이 비율들을 어떻게 조절하여 규제할 것인지 궁금합니다. 고금리 시대에 내집마련의 꿈이 더욱 힘든 상황입니다. 최대한 실거주지는 구매하다라도 영끌로 집을 사서 이자부담으로 힘들 정도로 집을 사는 것은 현 상황에서는 힘든 선택이 될 것입니다. 부동산담보대출은 최대한 맞춰서 하는 것이 좋은 시기입니다.

그리고 부동산계산기.COM이라는 사이트에서 쉽게 조건을 입력하면 계산을 해주므로 참조 하시면 편할 것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에 대한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