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이용시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내야하는데 요율표가 있습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율과 표, 계산기 활용까지 정리했습니다. 손해안보게 잘 알아보셔야 합니다.

Table of Contents
부동산 중개수수료율 표를 통한 정리
작년도 2021년에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이 인하가 되었습니다. 거래금액 부분에서 세분화되고, 최대 0.9%~0.7%까지 낮아진 상태입니다. 중개 수수료 부담은 조금 줄어든 것이 맞는데, 높은 전세 매매 가격과 고금리가 되어 집을 계약할 때는 잘 생각하셔야 될 것 같습니다.
중개보수 요율표
아래 사진과 같이 중개 수수료율이 개편되었고, 자세히 보시면 아시겠지만 주택에 대해서만 적용되었습니다. 오피스텔과 주택 외의 중개 대상물에 대해서는 변하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아래 요율표에서 제가 표시한 네모 프레임 안을 보시면 상한 요율이 거래금액의 1천 분의 ( ) 이내라고 되어있습니다. 이 부분들은 협의가 가능한 부분이므로, 주택 외 거래에서 공인 중개사와 협의 요청을 해야 합니다. 아니면 무조건 요구금액을 다 내야 할지도 모릅니다

주택에 대한 중개수수료율은 작년의 반값 수준
거래금액별 세분화가 되고, 해당 금액에 대한 상한 요율도 모두 낮아졌습니다. 매매뿐만 아니라 임대차 같은 건에 대해서도 다 인하된 요율로 거래 가능합니다. 공인 중개사 입장에서는 안 좋은 소식이지만 일반 주택을 찾는 소비자 입장에서는 아주 잘 된 중개보수 수수료가 되었습니다.
오피스텔 중개수수료율은 변동 없음
오피스텔의 경우는 2015년 이후 변동사항이 없습니다. 금액 구분도 없습니다. 하지만 상한 요율은 인하 적용이 되었습니다. 2015년 이전 최대 요율 매매 시 0.8%, 임대차 0.8%였지만, 이번 최대 요율은 매매 0.5%, 임대차 0.4%가 되었으니 반이상 요율이 인하된 것입니다.
주택 오피스텔 외에는 중개 수수료율 최대 0.9%
위에 잠시 언급한 내용으로 최대 0.9% 고정이고, 공인 중개사와 협의로 처리해야 합니다.
이렇게 정리할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소비자가 보기에는 계산하기 힘든 측면이 있습니다. 그래서 부동산중개수수료율 계산기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
부동산 중개 수수료 계산기 옆에 링크글로 들어가시면 바로 중개수수료를 계산할수 있습니다.
링크로 들어가셔서 매물형태와 거래지역, 거래유형(매매, 전세, 월세)를 선택하고, 거래금액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러면 상한요율 적용과 최대 중개보수가 나오므로, 과도한 중개보수료를 지급하지 않을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피스텔이나 주택외 거래건에 대해서는 최대한 협의를 잘 하시면 괜찮은 거래를 할 수 있을 것입니다.
함께보면 좋은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