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을 처음할 때, 이런 저런 용어가 어렵습니다. 그래서 흔히 쓰는 용어 정리도 할려고 합니다. 오늘은 상한가 하한가, 상따, 하따, 따상 등 상하 가 붙은 용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상한가 하한가 뜻
먼저 기본 용어인 상한가 하한가 뜻에 대해 알아봅시다. 상한가는 하루에 상승할 수 있는 최고 가격으로 전일 대비 가격제한폭 +30%까지 상승했을때, 상한가를 찍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하한가는 상한가의 정반대로 주가가 하루에 하락할 수 있는 최저 가격으로 전일대비 가격제한폭 -30%까지 내려갔을때 하한가를 찍었다고 합니다. 2015년까지는 이 제한폭이 15%였지만, 현재는 국내는 30%로 가격제한폭을 주고 있습니다. 참고로 미국은 이런 가격제한폭이 없습니다. 가격제한폭을 주는 것은 급격한 주가변동으로 혼란을 막기 위해 주는 것입니다.
이런 급격한 주가 변동을 막기 위한 제도로 서킷브레이커와 사이드카 제도가 있는데 이것은 옆에 링크를 눌러보시면 정리할 수 있습니다.
상따 하따 뜻
그리고 뉴스보다도 개인들이 주식을 말할 때 상따 하따라는 말을 많이 씁니다. 여기서 상따는 상한가 따라잡기의 줄임말로 해당 종목의 주가가 상한가를 찍으면 일단 추가로 또 상승한다고 보고 추가 매수하는 전략입니다.
반대로 하따는 하한가 따라잡기로 하한가를 기록하는 종목을 최저를 찍었다고 보고 이제 오를 것이라고 생각하여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둘다 어떻게 보면 아무생각없이 추세에 따라 투자하는 전략이므로, 추천하는 방식은 아닙니다.
따상 뜻 따따상
따상이란 공모주 투자에 많이 쓰이는 용어로 공모주가 상장을 할때 첫날 공모가 대비 2배 시가가 형성한 다음 상한가를 찍는 것을 말합니다. 공모주는 첫날 주식시장에 공개될 때, 아직 정해진 주가가 없기 때문에 첫 2배 시가 형성이 가능하기 때문에 공모주만 이 따상이 가능합니다. 예를 들어, 10,000원 주식이 상장해서 더블 로 20,000원 되고 여기서 상한가를 찍으면 26,000원이 되는 것입니다.
따따상은 그다음날 한번 더 상한가를 찍으면 따따상이라고 부릅니다. 올해 초 엘지에너지솔루션 때, 따상을 예상했지만 실패 했고, 8월에 새빗켐이 상장할 때, 더블 까지는 찍었던 적이 있습니다. 그정도로 요새는 따상 따따상은 쉽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