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able of Contents
액면분할 액면병합 뜻과 차이 호재 악재 여부 정리
주식용어 중 액면분할 액면병합이란 말이 있습니다. 뜻과 호재인지 악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액면분할 뜻
액면분할이란 거래소에 상장된 해당 기업의 거래가능 총 주식 수를 나눈다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10만원 주식을 5만원 주식 2장으로 나누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이렇게 하면 가용 주식수는 줄어들지만 감자와 다르게 시가 총액은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내가 가진 주식수도 10만원 1주에서 5만원 2주를 가지게 되는 것으로 변동됩니다. 이런식으로 동일한 시가총액에서 주식가격만 작아지고, 유통 주식량은 늘어나게 됩니다.
액면분할 이유
해당 경영자가 자사 주식이 고평가 되었다고 생각해서 거래량이 안 늘고 있다는 등의 문제로 투자자에게 매력적이지 않다고 느꼈을때 액면분할을 합니다. 그렇기 떄문에 액면분할의 이유는 유동성을 늘리기 위해서라고 보면 더 쉽습니다.
호재인가? 악재인가?
일반적으로 액면분할은 확실히 유동성을 높여주기 때문에 너무 비싸서 손도 안가던 주식이 거래량이 증가하는 효과를 주기 때문에 단기 호재로 봅니다. 하지만 이 호재는 길게 가지 않고 결국은 회사의 가치에 따라 더 올라가거나 그냥 그자리에 머물거나 하게 됩니다. 역시 주식은 결국은 가치에 따라서 결정되는 것입니다.
액면병합 뜻
액면병합은 액면분할과 반대로 주식수를 감소시키고 주당 가격을 높이는 효과이며, 역시 시가총액의 변동은 없습니다.
동일하게 예를 들어 500원짜리 2주를 가지고 있던 것이 1000원짜리 1주를 가지게 되는 형식으로 변동되는 것입니다.
액면병합 이유
대부분 액면병합을 하는 이유는 상장을 유지하기 위해서 입니다. 일정 금액 이하 주식은 상폐를 당할수 있기 때문에 액면병합으로 주가를 올리는 것입니다. 그리고 동전주 투기주 같은 경우에서 너무 많은 유동성이 있으면 더 잡주가 되기 때문에 변동성을 줄여주기 위해서 액면병합을 하기도 합니다.
호재인가? 악재인가?
액면병합은 크게 봐서 악재입니다. 주식수는 줄고 주가가 올라도 크게 주식 변동이 없는 경우가 많고 오히려 떨어지는 경우도 많습니다. 역시 그 회사의 주가는 가치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기 때문에 액면병합은 이유에서 알다시피 주가가 낮은 회사에서 많이하는 것처럼 큰 회사에서는 굳이 할 일이 없습니다.
정리
액면분할 액면병합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액면분할은 단기 호재, 액면 병합은 악재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결국은 주식은 내재 가치에 따라 결정되므로 이런 단기적 이벤트에 왔다갔다하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참고로 액면분할 액면병합과 다르게 시가총액 자체가 변동하게 되는 유상감자 무상감자의 뜻과 호재인지 악재인지는 아래 글을 보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