얼마전 주식용어 증자에 대해서 알아보았습니다. 오늘은 감자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유상감자 무상감자 뜻 과 차이 주가 영향 과 호재인지 악재인지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유상감자 무상감자 뜻 정리
일단 감자의 뜻은 자본을 감소시킨다는 말입니다. 기업의 자본총액을 줄이는 것은 보통 좋은 일은 아닌데, 정리나 회사 분할 합병, 사업보전등의 목적으로 자본총액을 줄입니다. 이때 사업을 축소하면서 필요없는 회사 재산을 주주나 직원들에게 반환해주는 실질적 감자가 있고, 회사재산이 손실에 의해서 자본액을 밑돌게 된 것을 매꾸고 이익배당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형식상 감자를 할수있습니다.
그리고 감자는 액면금액을 감액하거나 주식소각, 주식병합을 통해서 주식수를 줄이는 것 두가지를 통해서 처리합니다. 감자를 하면 자본준비금을 적립해야 할 수도 있고 자본금의 감소를 가져오기도 합니다. 이 후 글에서 유상감자 무상증자 뜻과 주가영향, 차이에 대해서 이해하실수 있을 것입니다.
유상감자 뜻 주가 영향
유상감자를 하면 주주의 입장에서 유상 감자는 지분 비율로 보상을 받기 때문에 이익을 얻고, 유통 주식수가 감소하기 때문에 주가상승효과도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기업 규모에 비해서 자본금이 지나치게 많다고 판단되는 경우, 자본금 규모를 적정하게 줄이고 기업가치 향상 및 주가를 높이는 효과를 가져 옵니다. 그래서 유상감자는 호재라고 볼수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무상감자 뜻 주가 영향
무상감자는 유상감자와 달리 자본금을 줄이는데, 주주에게는 어떤 보상도 하지 않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자산은 변하지 않고 형식적 감자가 됩니다. 자본 감소의 방법으로 누적 결손금이 커질경우에 회계상으로만 손실을 털어내는 방법이기 때문에 주가에 악 영향을 줍니다.
주식병합 방식이 일반적인데 3:1 무상감자가 되면 3주를 보유하고 있던 것이 1주만 보유하게 되는 것입니다. 그렇지만 어떤 보상도 해주지 않습니다. 대부분 부실기업들에 대해서 공적자금 투입되는 경우등에 사용되므로, 무조건 악재 입니다.
정리
유상감자는 감자를 해도 그에 따른 보상을 해주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호재이고, 무상감자는 아무런 보상없이 주식만 없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악재입니다.
앞으로 이 차이를 이해하고, 주식을 거래할 때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추가로 유상증자 무상증자에 대해서 알고 싶으시면 링크를 클릭하세요.
1 thought on “유상감자 무상감자 뜻 차이 주가 영향 호재? 악재?”
Comments are clo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