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약통장 뜻과 1순위 조건 가입기간 납입횟수 점수 총정리

집 값이 많이 올라서 집을 사서 재테크하거나 실거주를 위해서는 주택청약을 받는 것이 가장 쉽습니다. 그래서 청약통장이 뜻과 1순위조건 가입기간 납입 횟수, 점수등을 확인하여 최대로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청약통장 조건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청약통장 총정리

청약통장 뜻과 1순위 조건 총정리

청약통장이란 주택청약을 위한 저축 상품으로 기존에는 청약예금, 청약부금, 청약저축이 있었고 각 상품마다 청약지원을 할 수 있는 주택이 달랐지만, 이제는 주택청약종합저축으로 통일 되었습니다. 보통 주택을 청약할 때 사용하며, 청약에 당첨이 안되면 그냥 적금 통장입니다. 이전에는 일반 적금보다 이자율이 높았으나 이제는 이자율도 크게 높지 않습니다. 그러므로, 딱 1순위에 맞춰서 준비하고 남은 돈은 다른 곳에 투자하는 것이 더 좋습니다.

청약통장 1순위 조건

지금 주택 청약 1순위조건은 너무 흔해서 솔직히 청약통장 1순위로 신규 아파트 당첨을 받는 것은 거의 로또나 다름이 없기 때문에 요즘에는 로또 청약이라고 불리고 있습니다. 청약통장 1순위 조건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공 국민과 민영이 다르기 때문에 이것 부터 챙겨보셔야 합니다. 민영은 민간건설업체가 짓는 것이고 우리가 알고 있는 브랜드 아파트입니다. 평수도 다양하고 보통 입지나 커뮤니티가 좋아서 사람들이 많이 선호를 하지만 가격이 상대적으로 많이 높습니다.

그리고 공공 국민은 국가나 지자체의 도움으로 짓는 것으로 평수가 20평대 이하인 경우가 대부분 이지만 가격적으로 저렴합니다.

국민주택(공공) 청약 1순위 자격

공공주택 1순위는 투기과열지구나 청약과열지역은 가입후 2년, 납입 횟수 24회가 지나면 누구나 1순위가 됩니다. 그외에 수도권에서는 1년 경과 12회 납입이상이고, 그외 지역 지방은 6개월만 충족되면 가능한 지역도 있습니다.

실질적으로 1순위자가 1,000만명 시대라고 불리므로, 로또 청약이라고 불릴만 합니다. 그리고 면적 40제곱 미터 초과하면 청약통장에 돈을 많이 넣은 사람이 유리하고, 면적 40제곱 미터 이하면 납입 횟수가 많은 사람이 유리합니다. 어쨌든 납입기간과 납입횟수가 많아야 하므로 빨리 만들어놓으면 유리한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공공청약은 1회당 인정금액이 10만원밖에 안됩니다.

민영주택 청약 1순위 자격

납인 기간은 공공부분과 같이 투기 청약 과열지역 2년, 수도권 1년, 그 외 6개월로 동일한 기준을 가집니다. 하지만 민영은 예치금이 추가로 필요합니다. 지역별 예치금액은 아래와 같습니다.

청약통장 뜻과 1순위 조건 가입기간 납입횟수 점수 총정리 청약통장

여기서 주의할 점은 납입 기간만 채우고, 금액이 충분하지 않더라도, 청약 직전에 한꺼번에 납입하여도 문제가 없으니, 굳이 금액에 맞춰놓을 필요가 없습니다.

민영주택의 가점제 추첨제

민영주택은 가점제와 추첨제를 동시에 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가점을 받은 사람이 당첨이 유리합니다.

85제곱미터 이하의 경우에는 무주택기간과 부양가족수 저축기간을 점수화하고 84점 만점으로 높은 점수를 얻은 사람이 선정되는 기준입니다. 실제로 당락을 결정하는 건 저축기간이 아닌 부양가족수라고 알려져있습니다.

85제곱미터 이상이면 공급물량 50%는 가점제, 나머지는 추첨제로 뽑습니다. 요새 로또라고 말하는게 바로 이 85제곱미터 이상의 추첨제입니다. 그런데 이 추첨제 중에서도 이 50%안에 75%를 무주택자 우선으로 추첨합니다. 그러므로 1주택자가 바랄수 있는것은 이 50%중에서 25%입니다.

청약통장 뜻과 1순위 조건 가입기간 납입횟수 점수 총정리 청약통장

결론

매월 10만원을 주택청약에 납입할 필요는 없으며, 일찍 가입하여 기간만 채우시다가, 청약전에 딱 저 위에 표 금액 만큼만 입금하시는게 좋습니다. 월 10만원은 어떻게 보면 큰 돈으로 중간에 해지하게 되면 기간을 채우는 것이 다시 처음부터 시작입니다.

주택청약 받는 것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청약통장을 잘 활용하시고, 로또 청약 받으시길 바랍니다.

같이 보면 좋은글

주택청약 당첨되면 필요한 것은?

부부공동명의의 장단점과 각종 부동산 세금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