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3월부터 미국 FOMC 에서 빅스텝으로 금리를 인상하면서 테이퍼링에 들어갔습니다. 경제뉴스에 올해 들어 많이 쓰이는 테이퍼링의 뜻과 한 단계 위의 양적긴축의 뜻을 설명하고 영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CPI발표 이후, 월가에서도 양적 긴축을 걱정하고 있습니다. 그 이전에 실시하고 있는 테이퍼링부터 걱정했던 사안입니다. 지금부터 설명해 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테이퍼링부터 양적긴축까지 인플레이션 안정화 방법
테이퍼링을 설명하기 전에 최근에 있었던 미국 및 대부분 국가들은 코로나로 인한 경기 침체를 걱정하면서, 기준금리를 인하하여 경기를 살리겠다는 정책을 사용합니다. 이것이 보통 경기 침체에 대응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이 기준금리 인하라는 카드는 인플레이션의 위협을 주기 때문에 적정히 조절을 하고 두번째 경기침체 방지 방법인 양적 완화를 실시 합니다.
양적완화는 기준금리를 낮추는 방법보다는 한단계 제한이 있는 경제 활성화 방안입니다. 각 국가들의 중앙은행은 시중은행이 보유하고 있는 국채등의 채권을 직접 매입하는 방식으로 시장에 돈을 공급합니다. 이렇게 은행에서 한번 거치고 돈을 조금은 제한 있게 풀리는 방법이 양적완화라고 보면 됩니다. 하지만 이것도 인플레이션 위협을 주는 것은 똑같습니다. 이젠 돈을 국가에서 회수하여 국가에 풀린 돈을 줄여야 물가가 안정될 수 있습니다. 이제 테이퍼링을 해야 합니다.
테이퍼링 뜻과 영향
테이퍼링은 기존 양적완화 정책으로 공급한 돈의 양을 줄이는 것입니다. 여기 까지는 아직까지 경기 활성화를 위한 방법입니다. 돈을 회수하지 않고 계속 시장에 돈을 공급은 하지만 공급량을 줄여서 조금씩 경제에 부담이 없이 시중에 돈을 줄이는 것입니다. 여기서 한단계 나아가는 방법이 기준금리를 인상하는 지금의 상태입니다. 한번의 빅스텝으로 금리를 인상했고, 이번 6월 FOMC회의에서는 자이언트스텝을 할수도 있다고 합니다. 기준금리가 높아지면 시중에 위험자산등에 있던 자산들이 안전자산인 미채권등으로 이동하게 되고, 대출도 힘들게 되기 때문에 시중에 돈이 감소 합니다. 그러면서 인플레이션 해소를 바라는 것입니다. FOMC 뜻과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 옆에 링크글을 보시면 빅스텝 자이언트스텝에 대해 알수 있을 것입니다.
양적긴축 뜻과 영향
위와 같이 테이퍼링을 하고 기준금리를 올렸지만 물가는 계속 오르고 미국CPI 지수도 최대를 나타내면서 인플레이션 우려가 더욱 커졌습니다. 그러면 중앙은행은 이제 적극적으로 시중에 있는 돈을 거둬들여야 합니다. 이것이 양적긴축입니다. 양적긴축은 채권을 이제 파는 것입니다. 채권을 매입하면서 양적완화를 하여 시중에 돈을 풀었다면 이번에는 채권을 이자를 더 주고 파는 것입니다. 그러면 안전자산인 채권이 이자도 높기 때문에 중앙은행에 채권을 시중에서 매입을 하게되고 시중에 돈은 중앙은행으로 들어가면서 시중에 돈이 회수되는 것입니다.
이 방법으로 금리는 더 인상이 되면서 시중에 돈이 줄어들게 되고 물가가 안정된다라는 것이 지금까지의 경제 였습니다. 하지만 이번에는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등으로 원자재 가격이 오른 상태이기 때문에 복합적인 문제가 있어 물가가 잘 잡아질지 걱정입니다.
우리나라 영향은?
미국의 금리가 상승되면 당연히 투자적으로 매력이 적은 우리나라 국채 금리는 더 올려야 되기 때문에 국내 금리도 추가적으로 계속 오를 것입니다. 6월 16일 FOMC회의에서 자이언트 스텝을 진행했습니다. 미국주식은 대부분 전날 자이언트스텝을 예상했기에, 오히려 당일 미국 주식은 올랐네요. 국내 주식도 같이 오를수 있을지는 글을 적는 지금은 모르겠네요. 미국 주식 투자는 그나마 다행인데, 국내의 빚으로 투자한 사람들, 영끌로 집을 산 사람들은 매달 이자내기도 빠듯해 질지도 모릅니다. 그리고 금리가 오르면서 국내 투자는 결국은 더욱 위축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으로 현재 우리나라 주식이 코스피 2500이 최근 깨진 것입니다. 이럴 때 투자는 너무 위험하고 안전자산인 예금이나 파킹통장을 이용하여 현금을 보존하여 투자 타이밍동안 기다리는 것이 맞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