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율 문제와 한미금리 역전 임박 의미와 영향

환율이 1300원을 돌파했습니다. 그중에 한가지 문제가 한미금리 역전은 아니지만 현재 동일하다는 것입니다. 왜 금리문제가 환율까지 미치는지에 대해 정리하고 의미와 영향을 알아보겠습니다.

한미금리 역전 임박 의미와 환율문제 정리

미국은 자국내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서 5월 빅스텝 6월 자이언트스 스텝 을 단행 하였으며, 금리는 현재 1.75%입니다. 기본적으로 불황 속에서 안전 자산인 달러의 가치가 높은데, 여기다가 금리까지 높으니 달러는 정말 투자하기 좋은 자산이 되었습니다.

한국 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미국중앙은행 기준금리 1.75%
한국 미국 기준금리 – 출처 네이버 2022년 7월 7일

한미금리 역전 임박과 한국 환율 문제

환율 오르는 이유

위에 사진에서 보다 시피 현재 한국과 미국은 기준금리가 같습니다. 한국이 미국보다 항상 금리가 높은 것도 달러 대비 메리트를 주기 위해서 입니다. 하지만 이제 금리가 같아진 상태에서 불황입니다. 그러면 한국에 투자하기 보다는 안전자산인 미국 달러에 투자하는 것을 원하게 됩니다.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이번 두달 정도 기간동안 한국 주식시장이 박살난 것에 이 금리가 똑같은 것에 문제도 있는 것입니다. 같은 금리면 외국인은 무조건 한국보다는 미국으로 돈을 투자하려고 합니다. 그래서 한국돈을 미국 달러로 바꿉니다. 그러면서 달러는 계속 반출되고 그만큼 달러가 귀해지면서 원달러 환율이 1,300원이 되었습니다.

한국에서 금리를 똑같이 올렸다면?

한국에서도 미국의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에 맞춰 금리를 올렸다면, 이정도까지의 주식 하락과 환율 방어를 위한 국내 보유 외환보유액을 까먹지도 않았을 것입니다. 링크글은 7/5일자 뉴스로 한국의 외환보유가 문제가 되고 있다는 기사 입니다.

한국에서는 영끌족등의 문제로 금리를 안 올렸다고 말을 하는데, 이 개인들의 문제 때문에 국가의 신용도 문제가 생길 위기 입니다.

한미금리 역전하면?

하루라도 빠르게 환율에 대응을 해야 하는데, 이 상태에서 역전까지 하게 되면, 우리나라의 해외 투자는 다 빠져 나갈 것입니다. 그러면서 투자되었던 달러를 회수할테니 더욱 더 환율은 올라가고 제 2의 IMF사태가 올 수 있을 것이라고 걱정하는 중입니다.

환율과 주식 금리의 관계 – 참조 글입니다.

정리

정리하자면 한미금리의 관계에서 항상 한국은 금리적으로 메리트를 줘야 달러가 반출이 안되는데, 정부의 실수로 금리 인상시기를 놓쳐서 현재 환율 문제가 발생한 것이라고 봅니다.

한미금리 역전이 일어나면 환율문제가 커지면서 이제 수입가도 오르게 됩니다. 수입가가 오르면 또 물가 상승도 일어납니다. 이상태로 가다가는 우리나라만 스태그플레이션이 올지도 모릅니다. 하루 바쁘게 조치를 취해야 합니다.

간단히 제 생각을 현 상황에 맞춰 정리해 보았습니다. 궁금한점 해결 되셨길 바라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