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테크 및 투자하시는 분들은 기본으로 가지고 있는 cma 통장에 대해서 알아보고 장점과 단점 등에 대해 정리하였습니다. 그리고 대체할 수 있는 상품은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Table of Contents
cma 란?
일반적으로 부르는 cma 는 cash management account 의 약자입니다. 종합금융회사등이 고객의 예탁 받은 유휴 현금을 어음이나 채무증서등을 운용하고 발생한 수익을 고객에게 지급하는 수시입출금이 가능한 금융상품을 지칭하는 용어입니다.
펀드와 cma 의 차이
위의 단어 설명만 보았을 때는 금융기관에 돈을 맞기면 일정 수익을 주는 펀드와 동일하게도 보입니다. 하지만 펀드와 cma는 확실한 차이가 있습니다. 펀드는 조금은 공격적 투자를 하고 이익을 창출하는 것이 목적으로 원금 손실의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cma는 오히려 은행의 예금과 비슷한 성향으로 금융기관에서는 비교적 안전한 어음이나 국공채에 투자하여 이익을 줍니다. 하루만 입금해도 이자가 발생하는 장점이 있고 일반적으로 원금손실이 발생안하는 상품이라고 보면 됩니다.
cma의 장점과 단점
장점
하루 단위 이자가 붙는 상품으로 목돈이나 비상금을 보관하기 좋습니다. 그리고 낮지만 안정적으로 보통 1~1.5%가 현재 금리로 투자 수익이 생깁니다. 마지막으로 수시입출금으로 환급성이 높습니다. 그래서 특히 요즘에 공모주에 투자하시는 분들이 cma를 많이 사용합니다. 언제든지 증권사와 연계된 계좌에서 돈을 넣었다 뺐다가 가능하니까요.
공모주에 대해 궁금하시면 옆에 공모주 링크를 클릭하세요 -> 공모주
단점
은행보다 취급점이 적기 때문에 오프라인으로 현장 업무를 보기 어려운 것이 단점 이었으나, 현재는 보통 스마트폰을 활용하기 때문에 진짜 현금을 뽑아야 하는 것이 아니면 크게 이 것은 단점이 아닙니다. 다른 단점은 주식이나 펀드에 비해서 수익률이 낫다는 것이고, 특수한 상황에서는 원금손실도 있을수 있다라는 것이 단점입니다. 아까 원금 손실이 없다고 했는데 또 갑자기 단점에 이런 말이 나오니 이상하실 겁니다. cma는 보통 초우량 등급의 국공채에 투자하므로 실제로 원금 손실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요즘 같이 러시아 사태 같은 것을 보면 원금 손실이 완전히 없다라고 는 말할 수 없는 것입니다.

일반 은행 입출금 통장과의 비교
cma통장은 아까 말한 것과 같이 공모주등을 투자하기 전에 잠시 넣어두는 파킹 통장으로 사용되었습니다. 그리고 비상금 통장으로도 많이 사용합니다. 여러가지 갑자기 급하게 돈이 필요할 때 쓰기 위한 돈으로 환급성이 중요한데, 환급성은 물론 하루만 맡겨도 시중은행보다 이자가 높기 때문입니다. 예금으로 은행에 맡긴 상태이면 만기 이전 해지시에 이자손해가 크고, 일출금통장은 거의 이자가 없기 때문에 cma가 좋은 것입니다.
그리고 유리한 점이 금리인데 보통 cma금리가 1~1.5%입니다. 2022년 5월 현재 기준입니다. 하지만 일반 입출금 통장은 거의 이자가 없습니다. 돈 보관 목적으로만 보아도 cma 가 훨씬 좋은 상태입니다.
요즘에 토스뱅크에서 1억원 이하 금리 2% 이자를 준다고 하는데, 이 통장과 cma를 다음 글에서 비교해 보겠습니다.
일반적인 입출금 통장 및 예금과 비교할때는 cma통장이 훨씬 더 좋은 것이 맞습니다. 비상금 통장이나 파킹통장으로 cma 하나 정도는 가입해 놓으시는 것도 추천 드립니다.
22년 10월 4일 수정 추가 – 지속되는 미국의 금리 인상으로 인해서 전체적으로 금리가 올라갔으며, cma 통장보다 케이뱅크나 웰컴저축은행, 사이다저축은행 같은 곳에서 일반 통장 금리가 더 높습니다. 현재는 좀 귀찮아도 파킹통장으로 저축은행 통장을 쓰시는 것 이 좋습니다.
22년 10월 18일 추가 – 요즘에는 전체적으로 모든 금리가 올라서, cma 나 파킹통장이나 비슷합니다만, 아직까지 저축은행 쪽 금리가 좀 높은 것 같습니다. SBI 저축은행이 제가 확인한 바로는 제일 괜찮습니다. 하지만 언제 바뀔지 모르니 참조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