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RB지수 뜻 및 투자 활용

뉴스를 보다 보면 원자재 시황에 대해서 말할 떄, CRB지수란 말이 많이 나옵니다. 투자를 안하면 몰라도 되는데 투자를 하면 알고 있으면 좋습니다.

경제용어완전정복-CRB지수란> 투자활용하기

CRB지수 뜻

이 지수는 국제 원자재 및 선물 상품 가격 조사회사인 CRB(Commodity Research Bureau)에서 발표하는 지수입니다. CRB 원자재 지수라고 부릅니다. 이 지수는 원자재 가격의 국제 기준 역할을 한다고 보고 있습니다. 곡물부터 원유(WTI), 천연가스, 산업용 원자재, 귀금속등 19개 주요상품선물 가격을 지수로 해서 나타내 주는 것 입니다.

1967년 원자재 가격을 100 으로 기준을 삼고 측정하고, 원자재에 따라서 물가가 올라가는 영향이 크기 때문에 과도하게 오르면 인플레이션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미국에서는 인플레이션 지수라고도 부릅니다. 일반적인 상황일 때는 이 지수가 오를 때, 필수 원자재를 많이 찾는다고 보고 경기가 활성화되어있다고 보고는 합니다.

하지만 이번에 지수가 높아진 것은 우크라이나 – 러시아 전쟁으로 인한 공급측의 문제로 발생한 문제이니 만큼 해결가능성이 보이지 않는 상태입니다.

이 지수는 https://stockcharts.com/에서 심벌을 $crb로 치면 바로 볼수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기준 22년 7월 5일 기준 crb 지수는 291.83입니다.

crb지수 현재기준
2022년 7월 5일 CRB지수

기준이 1967이라고 했었는데 그 때 100입니다. 그럼 지금은 291.83이니 그67년 에 비하여 2.9배 오른 상태입니다. 그래프를 보시면 알겠지만 딱 올해 3월부터 급등락 중이면서 우상향하고 있습니다. 우크라이나 러시아 전쟁이 2월 중에 시작했었습니다.

충분히 현재는 인플레이션 상황이라는 것을 알수 있습니다. 그리고 원자재 이기 때문에 인플레이션 선행지수라고 보는 것이 조금 더 정확할 것 같습니다.

앞으로의 투자 방향은?

미연준에서 빅스텝 자이언트 스텝을 진행하면서 기준 금리를 계속 올리면서 물가를 잡으려고 하고 있습니다. 이 영향으로 현재 지수가 꺽여가는 것 일수도 있습니다. 인플레이션 선행지수 이므로, 진정이 좀 기미가 보인다고 생각할 수도 있습니다. 우리나라 주식은 지금 대통령 리스크인지 전체 세계적 영향인지 매일 하한을 치고 있습니다. 그러니 일단 지금은 진정하고 관망해야 하는 상태일 것입니다.

함께보면 좋은글

빅스텝과 금리, 투자 영향